학사안내

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1/1학기 전필 4131092
건축설계스튜디오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92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설계를 위한 기본적인 건축언어와 표현방법을 학습하기 위한 과목이다. 기본적인 선긋기부터 스케치와 건축 도면, 다양한 방식의 투시도 작성과 모형 제작 등 건축 표현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학습함과 동시에 형태를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와 함께 척도와 축척의 개념 등 설계를 할 수 있는 기초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하반기에는 미로만들기와 건축형태와 공간 구성 과제를 통하여 형태와 공간을 구상하고 구현하기 위한 기본원리에 대해 인식하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to learn basic architectural language and expression methods for architectural design. From basic line drawing, sketching and architectural drawings, to creating various methods of perspective and model making, Students learn how to express forms while learning through hands-on practice. And also learn the basics of architectural design, such as the concept of human scale. As the second project, through making architectural form and spatial composition projects, learn the basic principles for design and implement form and space.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건축설계를 위한 기본적인 건축언어와 표현방법을 학습하기 위한 과목이다. 기본적인 선긋기부터 스케치와 건축 도면, 다양한 방식의 투시도 작성과 모형 제작 등 건축 표현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학습함과 동시에 형태를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와 함께 척도와 축척의 개념 등 설계를 할 수 있는 기초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하반기에는 미로만들기와 건축형태와 공간 구성 과제를 통하여 형태와 공간을 구상하고 구현하기 위한 기본원리에 대해 인식하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to learn basic architectural language and expression methods for architectural design. From basic line drawing, sketching and architectural drawings, to creating various methods of perspective and model making, Students learn how to express forms while learning through hands-on practice. And also learn the basics of architectural design, such as the concept of human scale. As the second project, through making architectural form and spatial composition projects, learn the basic principles for design and implement form and space.

닫기
1/1학기 전필 4131102
건축의이해 (Introduction to Architecture)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02
  • 교과목명 : 건축의이해 (Introduction to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입문 과정으로 건축과 관련된 가장 기본적인 영역에 대한 기초적 지식과 이론을 학습한다. 건축학에서 다루는 모든 분야에 대해서 언급하도록 하여 앞으로 건축가로 성장하기 위해서 학교에서 습득해야 할 것과 졸업 후에 훈련해야 할 것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ntroduces the students to the basic knowledge and theory of the most basic areas of architecture.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all areas of architecture so that they can understand what they need to learn in the department of archiecture and what to train after graduation to become professional architec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입문 과정으로 건축과 관련된 가장 기본적인 영역에 대한 기초적 지식과 이론을 학습한다. 건축학에서 다루는 모든 분야에 대해서 언급하도록 하여 앞으로 건축가로 성장하기 위해서 학교에서 습득해야 할 것과 졸업 후에 훈련해야 할 것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ntroduces the students to the basic knowledge and theory of the most basic areas of architecture.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all areas of architecture so that they can understand what they need to learn in the department of archiecture and what to train after graduation to become professional architects.

닫기
1/1학기 전선 4131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한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룬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xplore careers within the major. This course covers the whole process of find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s. On completion of this course,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ir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한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룬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xplore careers within the major. This course covers the whole process of find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s. On completion of this course,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ir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2학기 전필 4131093
건축설계스튜디오2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93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2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설계과제의 해결과정을 통하여 건축적 구현 능력을 익힘과 동시에 구상한 건축물을 도면으로 정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세부적으로는 건축설계의 기초적인 진행과정과 방법을 이해하고 건축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 즉 인문적?물리적 요소, 자연환경과 건축 환경, 사회적 요소, 행태와 인체척도, 인간과의 상호 관련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students learn the ability to create architectural form and accurately represent the architectural concept and design in drawings through the design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projects. Furthermore, understand the basic processe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various architectural elements composing building such as humanistic and physical elements, natural and built environment, social factors, human behavior and scale, and interrelationships with humans.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설계과제의 해결과정을 통하여 건축적 구현 능력을 익힘과 동시에 구상한 건축물을 도면으로 정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세부적으로는 건축설계의 기초적인 진행과정과 방법을 이해하고 건축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 즉 인문적?물리적 요소, 자연환경과 건축 환경, 사회적 요소, 행태와 인체척도, 인간과의 상호 관련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students learn the ability to create architectural form and accurately represent the architectural concept and design in drawings through the design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projects. Furthermore, understand the basic processe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various architectural elements composing building such as humanistic and physical elements, natural and built environment, social factors, human behavior and scale, and interrelationships with humans.

닫기
1/2학기 전선 4131122
디자인과조형 (Architectural Design and Visual Perception)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122
  • 교과목명 : 디자인과조형 (Architectural Design and Visual Percep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건축디자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이론적인 바탕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재를 미리 읽고, 토론 방식의 수업에 참여하며 세미나를 진행한다. 강좌의 내용은 건축디자이너가 갖추어야하는 소양, 창조행위로서의 건축디자인의 의미와 과정, 건축의 주제로서의 공간의 속성과 이것이 시각적으로 지각되는 조형의 기본 원리 그리고 건축의 공간 및 형태를 구체적인 재료를 통하여 실현시키는 구조시스템에 대해서 다룬다. 이는 건축설계스튜디오에서의 과제를 진행하거나, 앞으로 건축디자이너로서 실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이론적인 배경을 이룰 것이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o mak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architectural design. The class is composed of textbook reading, discussion during classes and seminars. Contents of this class are composed of qualification for architects, the procedure of architectural design as a creative work, properties of space, formative theory and structural systems to realize form and space by specific materials. This kind of knowledge becomes theoretical foundations in doing projects at architectural studios and practical works as an architec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건축디자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이론적인 바탕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재를 미리 읽고, 토론 방식의 수업에 참여하며 세미나를 진행한다. 강좌의 내용은 건축디자이너가 갖추어야하는 소양, 창조행위로서의 건축디자인의 의미와 과정, 건축의 주제로서의 공간의 속성과 이것이 시각적으로 지각되는 조형의 기본 원리 그리고 건축의 공간 및 형태를 구체적인 재료를 통하여 실현시키는 구조시스템에 대해서 다룬다. 이는 건축설계스튜디오에서의 과제를 진행하거나, 앞으로 건축디자이너로서 실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이론적인 배경을 이룰 것이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o mak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architectural design. The class is composed of textbook reading, discussion during classes and seminars. Contents of this class are composed of qualification for architects, the procedure of architectural design as a creative work, properties of space, formative theory and structural systems to realize form and space by specific materials. This kind of knowledge becomes theoretical foundations in doing projects at architectural studios and practical works as an architect.

닫기
2/1학기 전필 4131094
건축설계스튜디오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94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공간구성은 건축설계에 있어서 가장 근원적인 소재로써 이를 통해 디자인의 의도가 표현된다. 하나의 공간을 구획하고 다른 공간과 관련지음으로써, 건축공간을 구획하고 연결하는 구성방법을 학습한다. 학생은 건축디자인을 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주제를 해석하고 공간을 구성방법을 통해 공간의 심미적, 기능적 개념이 드러나는 과정을 이해한다.

    • English

      Architectural space composition is the most fundamental material in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intention of design is expressed through it. By dividing one space and associating with other spaces, students learn how to divide and connect architectural spaces. The student interprets a given subject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understands how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concepts of space are revealed through the way of constructing the space.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건축공간구성은 건축설계에 있어서 가장 근원적인 소재로써 이를 통해 디자인의 의도가 표현된다. 하나의 공간을 구획하고 다른 공간과 관련지음으로써, 건축공간을 구획하고 연결하는 구성방법을 학습한다. 학생은 건축디자인을 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주제를 해석하고 공간을 구성방법을 통해 공간의 심미적, 기능적 개념이 드러나는 과정을 이해한다.

  • English

    Architectural space composition is the most fundamental material in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intention of design is expressed through it. By dividing one space and associating with other spaces, students learn how to divide and connect architectural spaces. The student interprets a given subject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understands how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concepts of space are revealed through the way of constructing the space.

닫기
2/1학기 전필 4131106
한국건축의이해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06
  • 교과목명 : 한국건축의이해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한국 전통건축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여, 여러가지 배경과 공간구성, 구조, 의장 등을 살펴본다. 또한 한국 전통건축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이에 담긴 환경 친화적인 건축 특성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examines various backgrounds, spatial composition, structure, and design. In addition, this course examine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y type and understands its environmentally friendly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한국 전통건축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여, 여러가지 배경과 공간구성, 구조, 의장 등을 살펴본다. 또한 한국 전통건축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이에 담긴 환경 친화적인 건축 특성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examines various backgrounds, spatial composition, structure, and design. In addition, this course examine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y type and understands its environmentally friendly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닫기
2/1학기 전필 4131107
건축설계이론 (Architectural Design Theor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07
  • 교과목명 : 건축설계이론 (Architectural Design The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은 인간행동과 건조환경의 본질과 관계성의 인지를 위해 이에 대한 기존의 이론을 고찰하고, 설계를 위해 필요한 사실(fact), 정보(information)를 행동과학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룰 것이며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디자인 이론에 대한 분류 및 지식에 대해 인지하고 이해한다. 둘째, 건축설계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인지하고 이를 설계개념으로 도출하는 프로그래밍 과정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lass will consider existing theories for the recognition of the nature and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environment, and will address how facts and information needed for design are extracted on the basis of behavioral science and the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e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classification and knowledge of environmental design theory. Second, it recognizes the various information needed for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nd understands the programming process that derives it into the design concep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은 인간행동과 건조환경의 본질과 관계성의 인지를 위해 이에 대한 기존의 이론을 고찰하고, 설계를 위해 필요한 사실(fact), 정보(information)를 행동과학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룰 것이며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디자인 이론에 대한 분류 및 지식에 대해 인지하고 이해한다. 둘째, 건축설계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인지하고 이를 설계개념으로 도출하는 프로그래밍 과정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lass will consider existing theories for the recognition of the nature and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environment, and will address how facts and information needed for design are extracted on the basis of behavioral science and the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e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classification and knowledge of environmental design theory. Second, it recognizes the various information needed for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nd understands the programming process that derives it into the design concept.

닫기
2/1학기 전필 4131126
일반구조 (General Structure of Architectur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26
  • 교과목명 : 일반구조 (General Structure of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는 건축구조역학의 기본이론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힘과 모멘트의 원리, 정정보, 라멘, 아치, 트러스와 같은 디자인요소들의 거동,부재의 단면성질 등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하여 건축에서의 구조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고 구조해석의 기초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theory of architectural structural mechanics. Students learn the principles of force and moment, structural behavior of design elements such as ramen, arch, and truss. On completion of this course,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 role of structure in architecture and gain basic knowledge in structural analys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는 건축구조역학의 기본이론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힘과 모멘트의 원리, 정정보, 라멘, 아치, 트러스와 같은 디자인요소들의 거동,부재의 단면성질 등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하여 건축에서의 구조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고 구조해석의 기초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theory of architectural structural mechanics. Students learn the principles of force and moment, structural behavior of design elements such as ramen, arch, and truss. On completion of this course,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 role of structure in architecture and gain basic knowledge in structural analysis.

닫기
2/2학기 전필 4131002
서양건축사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02
  • 교과목명 : 서양건축사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현대건축의 주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서양건축의 다양한 건축양식과 기술 등을 다루어 건축설계를 위한 역사 이론적 배경을 습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건축에서 르네상스, 바로크 건축에 이르기까지의 전개과정 및 특징을 탐구하고, 사회 문화적 배경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acquiring historical theoretical background for architectural design by dealing with various architectural styles and techniques of Western architecture which forms the main flow of modern architecture.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from Egypt, Mesopotamia to Renaissance and Baroque architecture, and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현대건축의 주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서양건축의 다양한 건축양식과 기술 등을 다루어 건축설계를 위한 역사 이론적 배경을 습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건축에서 르네상스, 바로크 건축에 이르기까지의 전개과정 및 특징을 탐구하고, 사회 문화적 배경을 이해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acquiring historical theoretical background for architectural design by dealing with various architectural styles and techniques of Western architecture which forms the main flow of modern architecture.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from Egypt, Mesopotamia to Renaissance and Baroque architecture, and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닫기
2/2학기 전필 4131095
건축설계스튜디오4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95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4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개개의 건축공간들의 만들어 내는 조직형태는 기능적 해결을 넘어서, 건축 디자인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건물을 구성하는 여러 공간요소들을 조직하고 구축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학생은 건축디자인을 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주제를 해석하고 공간조직의 심미적, 기능적 개념을 이해한다. 또한 공간의 구축을 위한 적절한 구조시스템과 재료를 제안한다.

    • English

      The organizational form of individual architectural spaces goes beyond a functional solution and serves as an important means of expressing and understanding architectural design. Learn how to organize and build the various spatial elements that make up a building. The student interprets a given subject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understands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concepts of spatial organization. In addition, we propose appropriate structural systems and 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spaces.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개개의 건축공간들의 만들어 내는 조직형태는 기능적 해결을 넘어서, 건축 디자인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건물을 구성하는 여러 공간요소들을 조직하고 구축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학생은 건축디자인을 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주제를 해석하고 공간조직의 심미적, 기능적 개념을 이해한다. 또한 공간의 구축을 위한 적절한 구조시스템과 재료를 제안한다.

  • English

    The organizational form of individual architectural spaces goes beyond a functional solution and serves as an important means of expressing and understanding architectural design. Learn how to organize and build the various spatial elements that make up a building. The student interprets a given subject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understands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concepts of spatial organization. In addition, we propose appropriate structural systems and 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spaces.

닫기
2/2학기 전필 4131110
건축환경과설비이해 (Environment and Energy Basic)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10
  • 교과목명 : 건축환경과설비이해 (Environment and Energy Basic)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위생적이고 쾌적한 실내주거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경제적인 건축적(passive)설계방법과 에너지 절약방법 등의 건축설비 시스템 구축방법을 이해하여 건축물과 설비의 공존과 융합관계 그리고 그기능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 English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passive design and energy saving methods for building system to create and maintain a sanitary and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s mechanical and electrical equipments of the building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위생적이고 쾌적한 실내주거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경제적인 건축적(passive)설계방법과 에너지 절약방법 등의 건축설비 시스템 구축방법을 이해하여 건축물과 설비의 공존과 융합관계 그리고 그기능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 English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passive design and energy saving methods for building system to create and maintain a sanitary and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s mechanical and electrical equipments of the buildings.

닫기
2/2학기 전필 4131132
건축미디어기초 (Architecture and Media for Beginner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32
  • 교과목명 : 건축미디어기초 (Architecture and Media for Beginn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에서는 건축설계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 특히 CAD(Computer-Aided Design)의 활용법을 강술하고 실습한다. 강의는 기본적인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와 같은 2차원 도면의 형식을 표현하기 위해서 오토캐드(AutoCAD)를 실습하는 전반부와 SketchU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3차원 형태를 만들고 변형하고, 이를 다시 도면화하는 후반부로 구성된다.

    • English

      This is a beginning course in the study of Computer Aided Design(CAD) and SketchUp with regard to Architecture. Students learn the commands necessary to produce construction documents for a building using the latest version of the AutoCAD and SketchUp. The main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provide the student an education in how to utilize computer software necessary to function as an architect. The student will learn how to manage numerous elements on the same drawing using layers, commands, and tools. The student will also learn 3D modeling using SketchUp for a broad range of drawing and design application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에서는 건축설계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 특히 CAD(Computer-Aided Design)의 활용법을 강술하고 실습한다. 강의는 기본적인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와 같은 2차원 도면의 형식을 표현하기 위해서 오토캐드(AutoCAD)를 실습하는 전반부와 SketchU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3차원 형태를 만들고 변형하고, 이를 다시 도면화하는 후반부로 구성된다.

  • English

    This is a beginning course in the study of Computer Aided Design(CAD) and SketchUp with regard to Architecture. Students learn the commands necessary to produce construction documents for a building using the latest version of the AutoCAD and SketchUp. The main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provide the student an education in how to utilize computer software necessary to function as an architect. The student will learn how to manage numerous elements on the same drawing using layers, commands, and tools. The student will also learn 3D modeling using SketchUp for a broad range of drawing and design applications.

닫기
3/1학기 전필 4131013
근대건축사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13
  • 교과목명 : 근대건축사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서양건축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고전과 현대를 연결해 주는 시기의 건축, 즉 18세기 말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절충주의 건축으로부터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의 건축을 시대별로 학습한다. 새로운 건축사조의 형성과 교류, 시대별 대표적 건축가와 작품 및 이론을 산업혁명에 의한 새로운 재료와 구법의 출현, 교통과 통신의 발달, 산업사회와 도시사회의 성장 등과 연계하여 학습함으로써 현대건축의 근간이 되었던 근대건축의 생성과 전개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 English

      As an architectural historic period connecting classics and modernity in Western architecture, This course is learning about architectural history from the classicism and romanticism, eclectic architecture with industrial revolutions in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advent of new architectural building types with the emergence of new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growth of industrial urban societ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before Post-Modernis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서양건축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고전과 현대를 연결해 주는 시기의 건축, 즉 18세기 말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절충주의 건축으로부터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의 건축을 시대별로 학습한다. 새로운 건축사조의 형성과 교류, 시대별 대표적 건축가와 작품 및 이론을 산업혁명에 의한 새로운 재료와 구법의 출현, 교통과 통신의 발달, 산업사회와 도시사회의 성장 등과 연계하여 학습함으로써 현대건축의 근간이 되었던 근대건축의 생성과 전개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 English

    As an architectural historic period connecting classics and modernity in Western architecture, This course is learning about architectural history from the classicism and romanticism, eclectic architecture with industrial revolutions in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advent of new architectural building types with the emergence of new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growth of industrial urban societ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before Post-Modernism.

닫기
3/1학기 전필 4131031
환경친화건축 (Ecological Building studies for Sustainable Environment)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31
  • 교과목명 : 환경친화건축 (Ecological Building studies for Sustainable Environ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도시와 건축의 지속가능한 친환경개념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경의 지속가능성이 건축과 도시디자인에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철학적 측면과 디자인과 기술적 측면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이 여러 친환경적 설계방법들을 본인의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sustainable eco-concept of cities and architectures and to understand concrete design methods. Students will study the philosophical and design and technical aspects of how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hould be reflected in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This allows students to apply a variety of green design methods to their desig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도시와 건축의 지속가능한 친환경개념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경의 지속가능성이 건축과 도시디자인에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철학적 측면과 디자인과 기술적 측면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이 여러 친환경적 설계방법들을 본인의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sustainable eco-concept of cities and architectures and to understand concrete design methods. Students will study the philosophical and design and technical aspects of how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hould be reflected in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This allows students to apply a variety of green design methods to their designs.

닫기
3/1학기 전필 4131081
건축법규 (Building Code and Regulation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81
  • 교과목명 : 건축법규 (Building Code and Regulation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물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적인 법과 제도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하여 건축사 또는 건축 전문인으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are able to show their competence as architect or architectural expert acquiring basic knowledge on the main policy and law that they need to design a build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물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적인 법과 제도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하여 건축사 또는 건축 전문인으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are able to show their competence as architect or architectural expert acquiring basic knowledge on the main policy and law that they need to design a building.

닫기
3/1학기 전필 4131096
건축설계스튜디오5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96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5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도시공간이 가지는 구조적, 경관적 특성과 노후 공공건축물이 가지는 지역적, 사회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지와 대지 주변에 대해 지역 사회와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이를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기회를 가진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chances to suggest program to contribute to local culture and society around the sit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structure and landcape of urban space and lo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도시공간이 가지는 구조적, 경관적 특성과 노후 공공건축물이 가지는 지역적, 사회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지와 대지 주변에 대해 지역 사회와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이를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기회를 가진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chances to suggest program to contribute to local culture and society around the sit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structure and landcape of urban space and lo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

닫기
3/1학기 전필 4131108
친환경주거계획 (Design Method for The Adaptable and Sustainable Housing)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08
  • 교과목명 : 친환경주거계획 (Design Method for The Adaptable and Sustainable Hous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인간이 거주하는 환경의 위계적인 구성방식을 도시의 주거지를 소재로 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재를 미리 읽고 토론 방식의 수업에 참여하며 세미나를 진행한다. 강좌의 내용은 도시공간에서의 주거공간의 의미,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주거공간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도시집합주거유형의 역사, 한옥의 위계적인 공간구성 방식, 집합주거의 외부공간의 구성방식 그리고 친환경 집합주거계획방법을 다룬다. 이러한 지식은 도시의 주거지를 설계할 때 뿐 만 아니라 설계의 기본 작업인 여러 개의 공간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데에 지침을 제공해줄 것이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o study a hierarchical composition of our living environment by examining housing districts. The class is composed of textbook reading, discussion during classes and seminars. Contents of this class are composed of meaning of housing districts in city,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environment, factors to make form of housing, history of urban housing, hierarchical composition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patterns of housing layout and design of sustainable housing. These knowledges make guidelines not only for design of housing districts, but also for systematic composition of various kinds of spac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인간이 거주하는 환경의 위계적인 구성방식을 도시의 주거지를 소재로 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재를 미리 읽고 토론 방식의 수업에 참여하며 세미나를 진행한다. 강좌의 내용은 도시공간에서의 주거공간의 의미,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주거공간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도시집합주거유형의 역사, 한옥의 위계적인 공간구성 방식, 집합주거의 외부공간의 구성방식 그리고 친환경 집합주거계획방법을 다룬다. 이러한 지식은 도시의 주거지를 설계할 때 뿐 만 아니라 설계의 기본 작업인 여러 개의 공간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데에 지침을 제공해줄 것이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o study a hierarchical composition of our living environment by examining housing districts. The class is composed of textbook reading, discussion during classes and seminars. Contents of this class are composed of meaning of housing districts in city,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environment, factors to make form of housing, history of urban housing, hierarchical composition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patterns of housing layout and design of sustainable housing. These knowledges make guidelines not only for design of housing districts, but also for systematic composition of various kinds of spaces.

닫기
3/1학기 전선 4131128
디자인과미디어 (Design and Media)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128
  • 교과목명 : 디자인과미디어 (Design and Medi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디자인을 어떻게 전달하느냐는 건축 디자인 행위 자체만큼 중요한 문제이다. 그리고 디자인을 도출하기까지의 과정은 그 결과만큼이나 중요하다. 따라서 본 강의를 통하여, 디자인의 프로세스 및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이해하고, 최근 디지탈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사진, 삼차원 모델, 판넬, 포트폴리오, 영상 등의 제작 및 활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How to convey design is as important as the architectural design act itself. And the process of the design is just as important as the result. Therefore, through this lecture, students will understand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delivering design processes and results, and learn how to make and use photographs, three-dimensional models, panels, portfolios, and images using recent digital application program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디자인을 어떻게 전달하느냐는 건축 디자인 행위 자체만큼 중요한 문제이다. 그리고 디자인을 도출하기까지의 과정은 그 결과만큼이나 중요하다. 따라서 본 강의를 통하여, 디자인의 프로세스 및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이해하고, 최근 디지탈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사진, 삼차원 모델, 판넬, 포트폴리오, 영상 등의 제작 및 활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How to convey design is as important as the architectural design act itself. And the process of the design is just as important as the result. Therefore, through this lecture, students will understand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delivering design processes and results, and learn how to make and use photographs, three-dimensional models, panels, portfolios, and images using recent digital application programs.

닫기
3/2학기 전선 4131017
건축프로그래밍 (Architectural Programm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017
  • 교과목명 : 건축프로그래밍 (Architectural Programm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주의 의도에 부합되며 효율적인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와 자료가 필요하며, 이를 설계결정에 적절한 정보로 변환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담당하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수단이 건축프로그래밍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건축기획, 건축계획 및 설계, 사후평가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건축프로그래밍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작성방법과 적용기법을 학습한다.

    • English

      It takes a lot of information and data to make an architecture that conforms to the architectural intent and is efficient. And architects need a way to convert acquired data into appropriate information to make decisions in the design process.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means for this is architectural programming. In this subject,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rchitectural programming from planning and design to post-evaluation, and learn how to write and apply i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주의 의도에 부합되며 효율적인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와 자료가 필요하며, 이를 설계결정에 적절한 정보로 변환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담당하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수단이 건축프로그래밍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건축기획, 건축계획 및 설계, 사후평가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건축프로그래밍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작성방법과 적용기법을 학습한다.

  • English

    It takes a lot of information and data to make an architecture that conforms to the architectural intent and is efficient. And architects need a way to convert acquired data into appropriate information to make decisions in the design process.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means for this is architectural programming. In this subject,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rchitectural programming from planning and design to post-evaluation, and learn how to write and apply it.

닫기
3/2학기 전필 4131097
건축설계스튜디오6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97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6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커뮤니티 개념은 지역 및 도시 영역, 단지 내의 영역, 주동 및 주호 영역에서 위계성을 가지고 사적 공간과 공유 공간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시 내 주거 영역의 공간 구성을 이해하고,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개념이 도입된 현대 주거 단지를 계획한다.

    • English

      The community links private space to public space with hierarchy in the realm of region, city, block, builiding and unit. Students try to understand the spatial composion of these residential areas in the city and to design contemporary housing block including sustainable community.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커뮤니티 개념은 지역 및 도시 영역, 단지 내의 영역, 주동 및 주호 영역에서 위계성을 가지고 사적 공간과 공유 공간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시 내 주거 영역의 공간 구성을 이해하고,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개념이 도입된 현대 주거 단지를 계획한다.

  • English

    The community links private space to public space with hierarchy in the realm of region, city, block, builiding and unit. Students try to understand the spatial composion of these residential areas in the city and to design contemporary housing block including sustainable community.

닫기
3/2학기 전필 4131113
도시형태이해 (Understanding of Urban Morpholog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13
  • 교과목명 : 도시형태이해 (Understanding of Urban Morph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도시를 구성하는 유무형의 형태 요소와 구조체계를 이해하고, 이에 기초한 읽기 훈련과 동서양의 역사적 사례 분석을 통해 이면에 숨겨진 도시형태의 구성원리를 파악해본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try to understand tangible or intangible morphological elements and structural system of the city. They also figure out the composion principal of urban morphology through reading training and case studies on the history of eastern and western citi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도시를 구성하는 유무형의 형태 요소와 구조체계를 이해하고, 이에 기초한 읽기 훈련과 동서양의 역사적 사례 분석을 통해 이면에 숨겨진 도시형태의 구성원리를 파악해본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try to understand tangible or intangible morphological elements and structural system of the city. They also figure out the composion principal of urban morphology through reading training and case studies on the history of eastern and western cities.

닫기
3/2학기 전선 4131114
건축구조디자인 (Architectural Structure Desig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114
  • 교과목명 : 건축구조디자인 (Architectural Structure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에서 구조디자인과 건축디자인의 관계를 탐색한다. 학생은 구조의 기능, 기본적인 구조적 개념, 구조재료의 종류와 특성, 구조부재와 구조형식 등 구조의 기본과 구조디자인에 관련된 내용을 학습한다. 직접 구조모형을 만들고 그 모형에 다양한 하중(인장, 압축 등) 재하를 통하여 구조 거동을 관찰하고 구조시스템의 기본원리 및 구조공학의 기여도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structural design and architectural design.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make students learn the basics of structural and structural design, such as the function of structures, basic structural concept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materials, structural members and structural forms. In the lab session, students make various structural models and observe the structural behavior under different loading systems. On completion of this course,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of structural systems and their contributions to structural engineering.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에서 구조디자인과 건축디자인의 관계를 탐색한다. 학생은 구조의 기능, 기본적인 구조적 개념, 구조재료의 종류와 특성, 구조부재와 구조형식 등 구조의 기본과 구조디자인에 관련된 내용을 학습한다. 직접 구조모형을 만들고 그 모형에 다양한 하중(인장, 압축 등) 재하를 통하여 구조 거동을 관찰하고 구조시스템의 기본원리 및 구조공학의 기여도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structural design and architectural design.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make students learn the basics of structural and structural design, such as the function of structures, basic structural concept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materials, structural members and structural forms. In the lab session, students make various structural models and observe the structural behavior under different loading systems. On completion of this course,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of structural systems and their contributions to structural engineering.

닫기
3/2학기 전선 4131129
디테일의구상 (Plan of Architectural Detail)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129
  • 교과목명 : 디테일의구상 (Plan of Architectural Detail)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오늘날 현대 건축에서 적용되는 건축디테일의 기능적 측면의 성능과, 그것의 건축형태와 공간에 끼치는 영향을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디테일의 심미적 측면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그리고 건물의 디테일 사례들을 살펴봄으로 현대건축 디테일의 설계의 다양한 표현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aesthetic aspect of architectural detail based on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al aspect of architectural detail applied in today's modern architecture and its influence on architectural form and space. In addition, by looking at detailed examples of buildings, students will understand various ways of expressing the design of modern architectural detai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오늘날 현대 건축에서 적용되는 건축디테일의 기능적 측면의 성능과, 그것의 건축형태와 공간에 끼치는 영향을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디테일의 심미적 측면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그리고 건물의 디테일 사례들을 살펴봄으로 현대건축 디테일의 설계의 다양한 표현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aesthetic aspect of architectural detail based on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al aspect of architectural detail applied in today's modern architecture and its influence on architectural form and space. In addition, by looking at detailed examples of buildings, students will understand various ways of expressing the design of modern architectural details

닫기
3/2학기 전필 4131130
건축기술과재료 (Architectural Techniques and Material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30
  • 교과목명 : 건축기술과재료 (Architectural Techniques and Material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인간이 건축물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전성능과 사용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주변 환경에 따라 건축물이 요구하는 성능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알맞은 성능의 재료를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본 강의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소재별 본질과 성능을 논하고 각각의 용도 및 각 부위의 복합적인 성능을 설명한다. 즉, 목질재료, 석재, 요업계 재료, 금속재료, 고분자재료 및 그들의 복합재료 등에 대해 강도, 내화성, 내수성평가를 통한 적재적소의 재료 설계법을 강술한다.

    • English

      In order for humans to use buildings safely and comfortably, safety and other related performances must be secured. This can be realized by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required by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sing the appropriate construction materials at the right place. This course deals with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nstruction materials that makes up the building, and the application of them into the build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인간이 건축물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전성능과 사용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주변 환경에 따라 건축물이 요구하는 성능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알맞은 성능의 재료를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본 강의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소재별 본질과 성능을 논하고 각각의 용도 및 각 부위의 복합적인 성능을 설명한다. 즉, 목질재료, 석재, 요업계 재료, 금속재료, 고분자재료 및 그들의 복합재료 등에 대해 강도, 내화성, 내수성평가를 통한 적재적소의 재료 설계법을 강술한다.

  • English

    In order for humans to use buildings safely and comfortably, safety and other related performances must be secured. This can be realized by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required by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sing the appropriate construction materials at the right place. This course deals with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nstruction materials that makes up the building, and the application of them into the building

닫기
3/2학기 전선 4131992
직업선택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992
  • 교과목명 : 직업선택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는 자신의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사항들을 사전에 터득하기 위한 상담 중심의 수업이다. 대학생활, 수강신청 및 졸업후의 진로, 적성, 선후배와의 관계, 군입대문제, 가정생활 등을 심도있게 상담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counseling to learn in advance everything that affects students' career.In-depth counseling on college life, course registration, aptitude, relationship with seniors and juniors, military service, and career after graduation is conducted in this course .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는 자신의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사항들을 사전에 터득하기 위한 상담 중심의 수업이다. 대학생활, 수강신청 및 졸업후의 진로, 적성, 선후배와의 관계, 군입대문제, 가정생활 등을 심도있게 상담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counseling to learn in advance everything that affects students' career.In-depth counseling on college life, course registration, aptitude, relationship with seniors and juniors, military service, and career after graduation is conducted in this course .

닫기
4/1학기 전선 4131023
조경계획및설계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023
  • 교과목명 : 조경계획및설계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환경의 중요성이 점차로 중요해 지는 현대 사회에서 건축과 건축을 둘러싸고 있는 그 외부공간과의 관계는 더욱 더 중요해 지고 있다. 조경이란 토지를 미적으로 다루는 학문으로서 수목과 같은 식물소재로부터, 건축물간의 유기적인 관계 및 나아가서는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 등을 다루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외부공간의 디자인의 역사 및 수목, 포장 등 외부공간을 다루는 다양한 소재, 그리고 주택정원 및 아파트, 공원 등의 설계 사례 및 설계기법, 외국 및 현대 사회의 외부 공간 조성 흐름, 그리고 환경친화적인 개발 계획 및 환경복원 기법 등에 대하여 공부함으로써 건축 계획에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English

      I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spacing surrounding it is getting more important. Landscaping is the process of making that space more attractive by altering the existing design, adding ornamental features, and planting tress and shrubs. This course will teach you the history of design of external space, various materials making up external space such as trees and pavement, and design examples and design techniques for house gardens, apartments, and parks. This course will not only teach you the basics of the science of landscaping, it will show you how to apply the knowledge of landscaping to architectural desig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환경의 중요성이 점차로 중요해 지는 현대 사회에서 건축과 건축을 둘러싸고 있는 그 외부공간과의 관계는 더욱 더 중요해 지고 있다. 조경이란 토지를 미적으로 다루는 학문으로서 수목과 같은 식물소재로부터, 건축물간의 유기적인 관계 및 나아가서는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 등을 다루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외부공간의 디자인의 역사 및 수목, 포장 등 외부공간을 다루는 다양한 소재, 그리고 주택정원 및 아파트, 공원 등의 설계 사례 및 설계기법, 외국 및 현대 사회의 외부 공간 조성 흐름, 그리고 환경친화적인 개발 계획 및 환경복원 기법 등에 대하여 공부함으로써 건축 계획에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English

    I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spacing surrounding it is getting more important. Landscaping is the process of making that space more attractive by altering the existing design, adding ornamental features, and planting tress and shrubs. This course will teach you the history of design of external space, various materials making up external space such as trees and pavement, and design examples and design techniques for house gardens, apartments, and parks. This course will not only teach you the basics of the science of landscaping, it will show you how to apply the knowledge of landscaping to architectural design

닫기
4/1학기 전선 4131025
현대건축 (Contemporary Architectur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025
  • 교과목명 : 현대건축 (Contemporary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적 개념이 새롭게 출발한 근대로부터 현대까지 건축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건축과 문화예술 전반의 상관관계를 통해 건축의 사상과 가치에 대하여 분석, 비평한다.

    • English

      This course analyzes the theories and thoughts ??of architecture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culture and art, focusing on the architectural precedents from the modernism era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적 개념이 새롭게 출발한 근대로부터 현대까지 건축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건축과 문화예술 전반의 상관관계를 통해 건축의 사상과 가치에 대하여 분석, 비평한다.

  • English

    This course analyzes the theories and thoughts ??of architecture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culture and art, focusing on the architectural precedents from the modernism era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닫기
4/1학기 전필 4131098
건축설계스튜디오7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98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7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유(Shared) 공간'을 주제로 사회, 도시, 건축 이슈를 도출한다. 오래된 도시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부지와 연결시켜 도시+건축적 설계안을 제안한다. 아울러 환경적 측면의 도시를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건축 개념을 정립한다. 도시제안, 환경, 기술을 통합한 리모델링 전략을 생성한다.

    • English

      Under the main theme of 'Shared Space', students are asked to produce urban and architectural design issue, which are based on analysis of streets and old urban fabric. Sustainability, environmently friendly design and renovation strategy are key issue to fuse a new proposal with existing surroundings.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공유(Shared) 공간'을 주제로 사회, 도시, 건축 이슈를 도출한다. 오래된 도시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부지와 연결시켜 도시+건축적 설계안을 제안한다. 아울러 환경적 측면의 도시를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건축 개념을 정립한다. 도시제안, 환경, 기술을 통합한 리모델링 전략을 생성한다.

  • English

    Under the main theme of 'Shared Space', students are asked to produce urban and architectural design issue, which are based on analysis of streets and old urban fabric. Sustainability, environmently friendly design and renovation strategy are key issue to fuse a new proposal with existing surroundings.

닫기
4/1학기 전필 4131118
건축시공 (Building Constructio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18
  • 교과목명 : 건축시공 (Building Construc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는 건축계약, 건축시공, 건설관리 등 건축시공 전과정의 관계성 이해와 해당 분야의 기초지식 배양을 목표로 한다. 교과과정은 총 3단계로 구분된다. 1과정에서는 건축계약, 2과정에서는 공정별 시공절차, 3과정에서는 건설시공관리 측면에서의 건설공사를 팀기반으로 학습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Students learn about construction contracts, construction details by process and construction work in terms of construction managem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는 건축계약, 건축시공, 건설관리 등 건축시공 전과정의 관계성 이해와 해당 분야의 기초지식 배양을 목표로 한다. 교과과정은 총 3단계로 구분된다. 1과정에서는 건축계약, 2과정에서는 공정별 시공절차, 3과정에서는 건설시공관리 측면에서의 건설공사를 팀기반으로 학습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Students learn about construction contracts, construction details by process and construction work in terms of construction management.

닫기
4/1학기 전필 4131120
빌딩통합시스템 (Integrated System)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20
  • 교과목명 : 빌딩통합시스템 (Integrated Syste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을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건축은 사회적 요구를 적절히 조절, 구성, 디자인되어짐과 동시에 외부 환경에 대응해야 한다. 수업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건축이 부분들의 조합이 아닌 기술, 과학과 디자인의 융합임을 이해하는 데 있다.

    • English

      Understanding a building as a system is critical. It is designed, engineered and organized to meet functional requirements and to survive against external environment in time.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offer students opportunities that understand a building is not a mere assembly of technical parts but an integrated system of technology, science and desig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을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건축은 사회적 요구를 적절히 조절, 구성, 디자인되어짐과 동시에 외부 환경에 대응해야 한다. 수업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건축이 부분들의 조합이 아닌 기술, 과학과 디자인의 융합임을 이해하는 데 있다.

  • English

    Understanding a building as a system is critical. It is designed, engineered and organized to meet functional requirements and to survive against external environment in time.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offer students opportunities that understand a building is not a mere assembly of technical parts but an integrated system of technology, science and design.

닫기
4/2학기 전필 4131020
건축과사회 (Architecture and Societ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20
  • 교과목명 : 건축과사회 (Architecture and Societ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건축의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고, 건축과 사회의 상호관계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건축과 사회의 연동을 이해하고, 사회문제를 건축적으로 전환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지속가능한 건축과 도시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 English

      The basic goal of this course is to examine the social meaning of architecture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society in detai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link between architecture and society,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transform social problems architecturally and to suggest alternatives. You can also think about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citi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건축의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고, 건축과 사회의 상호관계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건축과 사회의 연동을 이해하고, 사회문제를 건축적으로 전환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지속가능한 건축과 도시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 English

    The basic goal of this course is to examine the social meaning of architecture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society in detai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link between architecture and society,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transform social problems architecturally and to suggest alternatives. You can also think about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cities.

닫기
4/2학기 전선 4131033
건축이론 (Architectural Theor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033
  • 교과목명 : 건축이론 (Architectural The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에 대한 미학과 철학 등의 다양한 이론은 항시 각 시대의 실용적인 디자인의 근거를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여 왔다. 비트루비우스로부터 시작된 건축 이론은 19세기 서양 철학 사상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히 형태적인 논의가 아닌 공간 개념의 도입에 의한 새로운 건축 이론으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19세기 미학에서 논리적인 전개로 인한 공간 개념의 정의는 건축의 본질로 이해하게 된다.

    • English

      Theories of architecture, such as architectural aesthetics and philosophy, have provided the basis for practical design in each era. The architectural theory derived from Vitruvius theory develops into a new architectural theor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space rather than simply discussing the form due to the development of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in the 19th century. Also, the notion of space due to logical development in 19th century aesthetics have been accepted as the essence of architectur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에 대한 미학과 철학 등의 다양한 이론은 항시 각 시대의 실용적인 디자인의 근거를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여 왔다. 비트루비우스로부터 시작된 건축 이론은 19세기 서양 철학 사상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히 형태적인 논의가 아닌 공간 개념의 도입에 의한 새로운 건축 이론으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19세기 미학에서 논리적인 전개로 인한 공간 개념의 정의는 건축의 본질로 이해하게 된다.

  • English

    Theories of architecture, such as architectural aesthetics and philosophy, have provided the basis for practical design in each era. The architectural theory derived from Vitruvius theory develops into a new architectural theor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space rather than simply discussing the form due to the development of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in the 19th century. Also, the notion of space due to logical development in 19th century aesthetics have been accepted as the essence of architecture.

닫기
4/2학기 전선 4131057
도시설계 (Urban Desig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057
  • 교과목명 : 도시설계 (Urban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설계의 장이되는 도시 및 도시공간에 대해 이해하고, 도시설계에 대한 기본적인개념 및 실무의 틀을 학습한다. 도시건축이 지닌 역사적, 지역적, 그리고 정책적 상관관계의 틀을 바탕으로 일정한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을 표현하고 강조할 수 있는 도시설계를 이해한다.

    • English

      Cities and urban spaces that are places for architectural design will be understood and basic concepts of urban design and the frame of practice will be learned. Based on the frame of historical, regional, and policy correlations, urban design that can express and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a certain region will be understoo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설계의 장이되는 도시 및 도시공간에 대해 이해하고, 도시설계에 대한 기본적인개념 및 실무의 틀을 학습한다. 도시건축이 지닌 역사적, 지역적, 그리고 정책적 상관관계의 틀을 바탕으로 일정한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을 표현하고 강조할 수 있는 도시설계를 이해한다.

  • English

    Cities and urban spaces that are places for architectural design will be understood and basic concepts of urban design and the frame of practice will be learned. Based on the frame of historical, regional, and policy correlations, urban design that can express and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a certain region will be understood

닫기
4/2학기 전필 4131099
건축설계스튜디오8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99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8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스튜디오 7과 연속선상에서 '공유공간' 주제 계획설계안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발전시킨다. 구조, 외피, 친환경에너지, M&E, 지반기술 등 기술적인 문제, 법규, 소방, 무장애시설 등을 디자인과 결부시켜 '통합설계 (Integrated Building Design)'를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Based on the schematic proposal of Studio 7, students will develop their design further with technical and practical issues; i.e structure, external skin, energy, geo-technology, M&E, fire, regulations, BF, etc. The course is aiming for an 'Integrated Building Design'.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스튜디오 7과 연속선상에서 '공유공간' 주제 계획설계안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발전시킨다. 구조, 외피, 친환경에너지, M&E, 지반기술 등 기술적인 문제, 법규, 소방, 무장애시설 등을 디자인과 결부시켜 '통합설계 (Integrated Building Design)'를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Based on the schematic proposal of Studio 7, students will develop their design further with technical and practical issues; i.e structure, external skin, energy, geo-technology, M&E, fire, regulations, BF, etc. The course is aiming for an 'Integrated Building Design'.

닫기
4/2학기 전선 4131131
빌딩통합시스템2 (Integrated System2)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131
  • 교과목명 : 빌딩통합시스템2 (Integrated System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은 다양한 기술과 디자인의 통합과 조율이 필요함과 동시에 각각의 개별 시스템에 대한 깊은 이해와 경험이 필요하다. 빌딩통합시스템 I 에서 다양한 시스템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하였다면, 빌딩시스템 II 에서는 그 연장선상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필요한 시스템을 더욱 깊게 분석, 이해하고 디자인에 적용시킴을 목표로 한다. 빌딩통합시스템 I 수업의 TS (Technical Study) 포트폴리오의 일부분을 심화시켜 시스템의 더 심도 있는 시스템 이해와 디자인 적용, 통합적인 시스템 + 디자인 조율에 초점을 맞춘다.

    • English

      Based on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s of a building as an integrated system at Building System I, Building System II continues its design research into a next level; it includes an in-depth study of structure and ecological principles. The course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sign and develop a material system which has both structural and ecological valu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은 다양한 기술과 디자인의 통합과 조율이 필요함과 동시에 각각의 개별 시스템에 대한 깊은 이해와 경험이 필요하다. 빌딩통합시스템 I 에서 다양한 시스템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하였다면, 빌딩시스템 II 에서는 그 연장선상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필요한 시스템을 더욱 깊게 분석, 이해하고 디자인에 적용시킴을 목표로 한다. 빌딩통합시스템 I 수업의 TS (Technical Study) 포트폴리오의 일부분을 심화시켜 시스템의 더 심도 있는 시스템 이해와 디자인 적용, 통합적인 시스템 + 디자인 조율에 초점을 맞춘다.

  • English

    Based on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s of a building as an integrated system at Building System I, Building System II continues its design research into a next level; it includes an in-depth study of structure and ecological principles. The course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sign and develop a material system which has both structural and ecological values.

닫기
5/1학기 전선 4131019
동양건축사 (History of Oriental Architecture)
  • 학년/학기 : 5/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019
  • 교과목명 : 동양건축사 (History of Oriental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설계에 있어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역사·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기 위한 건축역사의 기본 과목으로서, 동양건축을 지역과 시대, 그리고 건축유형별로 나누어 이해함을 목적으로 한다. 시간적으로는 선사에서 근대 이전까지이며, 공간적으로는 동양, 즉 중국과 일본, 인도 및 동남아시아의 건축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역사·지리·문화적으로 우리와 많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중국과 일본의 건축을 보다 심도 있게 다룬다.

    • English

      This is a basic course in architectural history to prepare a historic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at can be said to be the basics in architectural design. In terms of time, it spans from prehistoric times to pre-modern times, and spatially, it targets architecture in the East, namely China, Japan, India, and Southeast Asia. In particular, it deals more in-depth with the architecture of China and Japan, which have a lot to do with Korea in terms of history, geography, and cultur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설계에 있어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역사·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기 위한 건축역사의 기본 과목으로서, 동양건축을 지역과 시대, 그리고 건축유형별로 나누어 이해함을 목적으로 한다. 시간적으로는 선사에서 근대 이전까지이며, 공간적으로는 동양, 즉 중국과 일본, 인도 및 동남아시아의 건축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역사·지리·문화적으로 우리와 많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중국과 일본의 건축을 보다 심도 있게 다룬다.

  • English

    This is a basic course in architectural history to prepare a historic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at can be said to be the basics in architectural design. In terms of time, it spans from prehistoric times to pre-modern times, and spatially, it targets architecture in the East, namely China, Japan, India, and Southeast Asia. In particular, it deals more in-depth with the architecture of China and Japan, which have a lot to do with Korea in terms of history, geography, and culture.

닫기
5/1학기 전필 4131077
건축실무 (Professional Practice)
  • 학년/학기 : 5/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077
  • 교과목명 : 건축실무 (Professional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실무 분야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이 되는 과목으로, 건축가로서의 법적, 도덕적인 개념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진다. 변화하고 있는 건축 실무 환경을 고찰하고, 건축가로서의 역할을 재조명하여 바람직한 건축가의 미래상을 제시한다.

    • English

      This course orientates the specific fields of architectural practice, where students learn about legal and moral responsibilities as architects. This course examines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architectural fields and suggests the future of a desirable architec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실무 분야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이 되는 과목으로, 건축가로서의 법적, 도덕적인 개념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진다. 변화하고 있는 건축 실무 환경을 고찰하고, 건축가로서의 역할을 재조명하여 바람직한 건축가의 미래상을 제시한다.

  • English

    This course orientates the specific fields of architectural practice, where students learn about legal and moral responsibilities as architects. This course examines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architectural fields and suggests the future of a desirable architect.

닫기
5/1학기 전필 4131100
건축설계스튜디오9 (Architectural Design Studio 9)
  • 학년/학기 : 5/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00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9 (Architectural Design Studio 9)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가로서의 사회적인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각의 학생이 졸업설계의 주제를 선정한다. 학생이 준비한 과제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크리틱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졸업설계의 진행 내용은 주제와 대지의 선정, 대지의 이해와 프로그래밍의 분석 및 종합, 이를 바탕으로 한 설계안의 기본 구상 및 세부 목표 그리고 이상의 내용을 종합한 최종 설계안의 작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건축설계의 전 과정을 본인의 주도하에 진행해 봄으로써 건축가로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시작 단계부터 주관하여 최종 설계안을 도출하는 능력을 훈련한다.

    • English

      Each student suggests the theme of his graduation design work understanding social role as an architect. Every class consists of presentation which students prepare and critiques for it. Contents of graduation design works are selecting a theme and site, understanding a site and analysis of program, deducing basic design plan and detailed goals of design and the final drawings to show the architectural design. They can exercise to proceed an architectural projects from the beginning to the final drawings as an architect.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건축가로서의 사회적인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각의 학생이 졸업설계의 주제를 선정한다. 학생이 준비한 과제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크리틱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졸업설계의 진행 내용은 주제와 대지의 선정, 대지의 이해와 프로그래밍의 분석 및 종합, 이를 바탕으로 한 설계안의 기본 구상 및 세부 목표 그리고 이상의 내용을 종합한 최종 설계안의 작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건축설계의 전 과정을 본인의 주도하에 진행해 봄으로써 건축가로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시작 단계부터 주관하여 최종 설계안을 도출하는 능력을 훈련한다.

  • English

    Each student suggests the theme of his graduation design work understanding social role as an architect. Every class consists of presentation which students prepare and critiques for it. Contents of graduation design works are selecting a theme and site, understanding a site and analysis of program, deducing basic design plan and detailed goals of design and the final drawings to show the architectural design. They can exercise to proceed an architectural projects from the beginning to the final drawings as an architect.

닫기
5/2학기 전필 4131101
건축설계스튜디오10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0)
  • 학년/학기 : 5/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1101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10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0)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설계의 기본적인 실무 수행에 도움을 주는 과제들을 진행한다. 학생이 준비한 과제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크리틱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졸업설계의 내용으로 설계논문을 작성한다. 이를 통하여 설계의 논리적인 전개과정을 정리한다. 설계스튜디오에서 수행한 모든 과제들을 포트폴리오로 재구성한다. 이를 통하여 설계안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훈련한다. 졸업설계안에 대한 건축허가도면을 작성한다. 법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도면에 필요한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이러한 과제들은 설계사무소에서 실무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 English

      Students perform tasks which is helpful for the basic works in architectural firms. Every class consists of presentation which student prepare and critiques for it. Contents of class are as follows. A design thesis is made from the graduation design work which arranges the design process more logically. A portfolio is made from the projects for five year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works. For this portfolio, they practice how to present their design idea effectively. Drawings for building permit are made from which they practice to present all the information for buildings, including building codes. These tasks form the base for the practical services as an architect.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건축설계의 기본적인 실무 수행에 도움을 주는 과제들을 진행한다. 학생이 준비한 과제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크리틱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졸업설계의 내용으로 설계논문을 작성한다. 이를 통하여 설계의 논리적인 전개과정을 정리한다. 설계스튜디오에서 수행한 모든 과제들을 포트폴리오로 재구성한다. 이를 통하여 설계안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훈련한다. 졸업설계안에 대한 건축허가도면을 작성한다. 법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도면에 필요한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이러한 과제들은 설계사무소에서 실무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 English

    Students perform tasks which is helpful for the basic works in architectural firms. Every class consists of presentation which student prepare and critiques for it. Contents of class are as follows. A design thesis is made from the graduation design work which arranges the design process more logically. A portfolio is made from the projects for five year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works. For this portfolio, they practice how to present their design idea effectively. Drawings for building permit are made from which they practice to present all the information for buildings, including building codes. These tasks form the base for the practical services as an architect.

닫기
5/2학기 전선 4131133
강원지역건축 (Regional Architecture of Gangwon)
  • 학년/학기 : 5/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1133
  • 교과목명 : 강원지역건축 (Regional Architecture of Gangw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강원도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 등의 지역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강원도의 전통건축 및 현대건축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강원도의 건축이 가지고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건축설계에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을 형성한다.

    • English

      Understand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angwon's history,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and examining the traditional and modern architecture of Gangwon that reflects these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we understand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architecture of Gangwon In addition, it forms a theoretical basis that can be actively utilized in architectural desig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강원도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 등의 지역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강원도의 전통건축 및 현대건축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강원도의 건축이 가지고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건축설계에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을 형성한다.

  • English

    Understand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angwon's history,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and examining the traditional and modern architecture of Gangwon that reflects these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we understand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architecture of Gangwon In addition, it forms a theoretical basis that can be actively utilized in architectural design.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