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5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0.09.04
- 조회수1,066
-
-
123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0.09.04
- 조회수917
-
-
121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0.09.04
- 조회수1,436
-
-
119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0.09.04
- 조회수862
-
-
117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0.09.04
- 조회수948
-
남예림 제목 : Departures & Arrivals - 대비의 공간 - 공공성과 상업성의 차별화를 적용한 남부터미널 재개발 개인의 이동성과 이동수단이 다양해진 지금, ''버스''라는 교통수단과 터미널 공간은 어떻게 변해야 하는 걸까? 남부터미널은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버스터미널이다. 여기서 지하철 두 정거장만 가면 센트럴시티·고속터미널이 있어 많은 사람들은 남부터미널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하지만, 이런 인식과는 다르게 남부터미널은 서울시내 타 버스터미널에 뒤쳐지지 않는 이용객수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틈새공략을 활용한 것인데, 터미널 주변 인프라가 충분하다는 점, 주요 터미널 대신 직행 여행지나 농촌의 터미널로 운행하는 노선을 다수 두고, 시외버스를 활용해 접근성과 경제성을 높인 점이다. 또한 자가용 차량이 보급화되지 않았던 과거, 버스는 시민들의 삶에 다른 교통수단으로 대체 불가능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버스는 사회의 형평성 및 경제적 효율성 측면에서 가치있는 교통수단임은 분명하나, 고속열차가 운행되고 여러 교통수단이 보편화된 지금, 시간절약 및 안전성 비교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 버스의 공공성은 계속 중요시되고 강조되고 있지만, 대체 교통수단으로 인해 수익성은 하락한 버스교통을 현재와 같이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버스교통을 담당하는 공간 및 정책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공공성''과 ''상업성''을 차별화하여 각각 다른 방안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발전 방향과, 앞서 말한 남부터미널의 특징은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의 남부터미널은 이러한 차별성을 내비칠 수 없는 협소하고 단적인 공간이고, 긴 기간 가건물로 운영되어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다. 이 현재의 남부터미널을 ''대비''라는 특성을 이용해, 터미널로 오는 사람들과 떠나는 사람들에게 터미널과 버스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지를 생각해 봄으로서, 그에 따른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공공성과 상업성이 차별화된 새로운 터미널 공간을 만들어 준다.
-
115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0.09.04
- 조회수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