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제 46회 건축전] 정우영
Poetics of Crystal
물은 증발하고 소금은 남는다.
노동은 끝나고, 표면은 기억한다.
지붕이 내려앉아도 윤곽은 기억된다.
흙이 쓸려 나가도 지층은 남는다.
이곳, 신안의 염전은 그렇게 하루를 접는다.
기억은 언제나 불완전하고,
시간은 모든 것을 지운다.
그러나 형태는 사라지고
형상은 오래도록 머문다.
형태는 구축에 의해 결정되고 이는 공간의 특징과 힘을 부여합니다. 건축의 공간 특징은 어떻게 공간이 형성되는가에 달려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건축물을 실현하는 기술과 건물에 사용된 자재와 재료들의 구조적 구성 방식에 의해 그 특징이 정의됩니다. 재료가 어떤 느낌인지 어떻게 생겼는지, 가벼운지 또는 무거운지, 둔탁하게 보이는지 또는 반짝이게 보이는지, 냄새는 어떤지, 단단한지 또는 부드러운지, 유연한지, 차가운지 또는 따뜻한지, 매끄러운지 또는 거친지 같은 재료의 감각은 공간에 항상 존재합니다.
본 프로젝트는 재료의 맥락을 시작으로 각 재료의 성질과 필요 공간은 구조의 논리를 결정하고 그 모든 것들이 어긋나지 않게 엮이며 시간의 결이 지층처럼 쌓여갑니다. Tectonic은 단순한 구조의 방식이 아니라, 제겐 사유의 방식입니다. 건축이 기억을 고정하지 않고, 다만 스며들게 하기를 바랍니다. 영속을 주장하지 않고, 다만 견디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그 너머에서 하나의 구조가 어떻게 하나의 감각으로 남을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싶습니다. 재료와 구조의 솔직함이 여러분 마음에 남기를 바랍니다. 오래, 오래도록.